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965년 이곳 유림들의 발의로 창건, 김택술(金澤述:1884∼1954)을 배향했다.
건물은 사우(祠宇)·강당· 고직사(庫直舍)·내삼문·외삼문 등이 있다.
《후창집(後滄集)》을 비롯한 많은 책이 보관되어 있다.
김택술의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종현(鍾賢), 호는 후창(後滄)이다.
17세 때 천안 금곡에 있는 전우(田愚)를 찾아가 수학하여 후창이란 호를 받았다.
1906년 최익현(崔益絃)의 태인(泰仁) 창의(倡義)에 참가했으며, 송병선(宋秉璿)·김복한(金福漢)과도 사귀었다.
1909년 치환으로 열지(裂指: 손가락을 찢어 환자에게 피를 먹이는 것)했고 어머니가 죽자 3년 동안 시묘(侍墓)살이를 하여 효로서 이름을 알렸다.
이평면 불망실(不忘室)에서 후진을교육하며 철저한 배일사상을 고취하여 항거했고 1954년 사론(士論)으로 계양사에 추배되었다.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창골길 38-27(이평면)
homepage :
http://culture.jeongeup.go.krhttp://www.cha.go.kr문의안내:063-539-5184
컨텐츠 수정일: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