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별선택
  • Home
  • 관광지
  • 문화시설
  • 행사공연축제
  • 여행코스
  • 레포츠
  • 숙박
  • 쇼핑
  • 음식점
시도선택
  • 서울

  • 인천

  • 대전

  • 대구

  • 광주

  • 부산

  •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도

지역선택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광양시
  • 구례군
  • 나주시
  • 담양군
  • 목포시
  • 무안군
  • 보성군
  • 순천시
  • 신안군
  • 여수시
  • 영광군
  • 영암군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해남군
  • 화순군

    보길도 윤선도 원림

  •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은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된 문화재로 조선시대의 문신, 시인, 학자 고산 윤선도(1587~1671)가 여생은 보낸 곳이다.

    고산 윤선도는 해남에 있을 때 병자호란의 소식을 듣고 강화도에 도착하였으나, 인조는 이미 남한성에서 적에게 항복한 후였다.

    이에 고산은 세상을 버리고 제주도로 가는 길에 보길도의 경치에 취하여 이곳에 머물게 되었다고 한다.

    고산은 보길도 내 경관이 수려한 곳의 경처를 명명하고 그곳을 오가며 [어부사시사]등 주옥같은 한시가 창작되었다.

    보길도 윤선도 원림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정원 양식들 보여 주는 한국의 3대 전통 정원 중 하나이다.

    윤선도는 이곳에 대해 [지형이 마치 연꽃 봉오리가 터져 피는 듯해 부용이라 이름했다]라고 전해진다.

    부용동 정원은 고산이 직접 조성한 생활공간이자 놀이공간으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별서정원에 해당한다.

    별서는 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 집을 말한다.

    오늘날 남아 있는 부용동정원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거처하는 살림집인 낙서재 주변과 그 맞은편 산 중턱의 휴식공간인 동천석실 주변, 그리고 부용동 입구에 있는 놀이의 공간이라 할 세연정 주변이다.

    이처럼 윤선도는 당쟁으로 시끄러운세상과 멀리 떨어진 자신의 낙원에서 마음껏 풍류를 누렸다.

    여기에서 그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어부의 소박한 생활을 창의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주소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길 57
    homepage : http://www.wando.go.kr/tour
    http://www.cha.go.kr
    문의안내:061-550-6637 (매표소)
    주차:있음 (주차공간 여유있음)
    이용시간:09:00 ~ 18:00 (입장마감 17:30분)

    컨텐츠 수정일:20230925




  • 네이버소셜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밴드
전국화물운송 동우물류
제주도화물운송 제주물류
산약초마을 - 약용식물 나물종류 텃밭가꾸기 계절음식 약초달력
  • 관광지  >  전라남도  >  장흥군
  • http://api.visitkorea.or.kr 정보제공
  • master@tourcoup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