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테마별선택
  • Home
  • 관광지
  • 문화시설
  • 행사공연축제
  • 여행코스
  • 레포츠
  • 숙박
  • 쇼핑
  • 음식점
시도선택
  • 서울

  • 인천

  • 대전

  • 대구

  • 광주

  • 부산

  •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도

지역선택
  • 남제주군
  • 북제주군
  • 서귀포시
  • 제주시

    가마오름

  • 한경면 수룽이마을(산양리 수룡동) 뒷산으로 마을 남동쪽 약 500m지점에 위치한 오름이다. 수룡동 마을안길로 들어가면 쉽게 오를 수 있다. 주봉인 남쪽봉우리를 중심으로 북쪽으로 뻗은 등성마루에는 언덕같은 봉우리가 솟아 있고, 완만한 동사면은 북동쪽으로 말굽형 화구를 이루며 얕고 넓게 벌어져 있으며 붉은 송이로 이루어져 있다. 해송과 잡목이 어우러져 숲을 이루고 있으며, 풀밭에는 술패렝이꽃이 여기저기 보인다.이 오름에는 일본강점기 때 일본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지금도 인공적으로 파인 수직굴이 여러개 산재해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어원 : 오름산모양이 가마솥을 엎어 놓은 모양과 같이 생겼다하여 가마오름이라 부르고 있으나, 학자들의 어원적 해석에 의하면'가마'는 '감'에서 나온 것이고, '감'은 북방어로 神(신) 또는 신성하고 거룩하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즉, 가마오름은 신령스러운 산이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표고(m): 140.5 / 비고(m): 51 / 둘레(m): 2059 / 면적(m): 154486 / 저경(m): 646 )

  • 가메창(암메)

  • 가메창(암메)
    저지오름 남서쪽 기슭 자락 도로변에 가마솥 모양으로 패여 있는 원형분화구를 품고 있는 자그마한 오름으로, 마을에서는 분화구가 솥바닥처럼 생겼다 하여 가메창이라 부르고 있다. 한경면 저지리 저청초등학교 사거리에서 수동 방향으로 조금 가면 도로 우측에 위치해 있어, 해송이 있는 언덕 위로 몇발자국만 오르면 분화구를 볼 수 있다. 분화구는 둘레가 약 300m, 깊이가 16m 정도로 외륜의 사면경사인 비고(6m)보다 더 깊이 패여있는 형태이다. 오름은잔디밭 등성이로 곱게 둘러져 있고, 오름옆에 있는 외딴 민가로 들어가는 돌담을 넘는 순간 고운 잔디밭과 듬성듬성한 해송 사이로 움푹패인 굼부리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분화구 바닥은 화구원과 사면사이에 돌담을 둘러 그안에는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 가새기오름

  • 오라동 연미마을 북서쪽(제주 MBC 사옥 동쪽)에 가로누운 자그마한 화구없는 원추형 화산체로서, 남북으로 긴 등성이에 해송이 우거져 숲을 이루고 있다. 풍수설에 의하면 이 오름 남쪽에 있는 민오름이 개의 형국이고, 그 밑에 있는 이 오름은 어미개에 딸린 새끼개(강아지)의 형국이라는 데서 개새끼오름이라 부르고 있으며, 어미개와 개새끼(강아지)가 어울린 모습에 개의 젖가슴을 상징하는 지세라하여 북서쪽 오름자락은 예로부터 길지로서 명당으로 꼽혀 온 곳이라 한다. (표고(m): 115 비고(m): 20 둘레(m): 490 면적(m): 17198 저경(m): 167) * 동일명칭 : 가삭봉, 가사끼오름, 개새끼오름, 加沙峰

  • 감은이오름

  • 성불오름 서쪽 기슭자락으로 이웃해 있는 오름으로, 동부산업도로변 성불오름 옆으로 오름자락까지 농로가 나 있다. 성불오름 정상에서 내려다 보면 화구 북쪽으로 넓게 벌어진 모습이나, 응회환(tuff ring)의 구조와 유사한 원형분화구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화구안에는 초지가 조성되어 있고, 전사면은 풀밭을 이루면서 구슬붕이가 듬성듬섬 보이고, 북서쪽사면 기슭에는 미나리아재비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 개오리오름

  • 5.16도로 (제1횡단도로) 조랑말목장 동쪽의 방송중계탑이 설치되어 있는 오름이다. 크고 작은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는 복합형 화산체이며, 개오리오름은 주봉(743m)인 송신탑이 서 있는 곳의 오름을 말한다. 족은개오리(664m)는 북쪽에 서향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갖는 것이고, 가운데에 샛개오리(658m)라 부르는 원추형의 작은 오름이 위치해 있다. 전체적으로 두 개의 말굽형 화구를 갖는 복합형이다. 전사면이 낙엽수, 상록수 등이울창하게 우거진 자연림을 이루고, 일부에 삼나무, 소나무가 있다. 겨울 한동안은 잎이 다 떨어진 회갈색 사면에 층층으로 늘어선 삼나무 대열이 이채롭다. 산 모양이 개오리(가오리)처럼 생겼다는 이름으로 가으리오름, 개워리오름, 개월오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犬月岳(견월악)이라는 한자명을 놓고, 개가 달을 보고 짖는 형국이라고 풀이하기도 하지만 억지 풀이에 지나지 않는다. `개월`이 개와 달을 뜻하는 것이라면 `개돌(고어로)`이거나 `개달`이어야할 것이고, 땅 형국이 견월형이라면 견월이었어야 할 것이다. 이른 시기 표기인 竝五里 또는 竝五里岳을 고려하면 `골오리오롬, 골오리오름` 또는 `고오리오롬`이 원래 이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골오리오롬, 고오리오롬, 가오리오름`이 말하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음운변동을 초래하였고, 이것을 한자로 바꾸는 과정에서 秋月岳, 犬月岳 등으로까지 표기되면서 원래의 이름이나 뜻과는 멀어져 버렸다. 竝岳, 幷岳 등의 표기를 중시한다면 竝을 훈독자로보고, `골오리오롬` 즉 `골른고른`[竝] 오름, 곧 두 오름이 나란히 누워있는 쌍둥이 오름으로 볼 수 있다. * 개오리오름(표고 : 743m 비고 : 118m 둘레 : 3,504m 면적 : 640,913㎡ 저경 : 1,298m) * 샛개오리(표고 : 658.3m 비고 : 58m 둘레 : 1,049m 면적 : 73,832㎡ 저경 : 377m) * 족은개오리(표고 : 664m 비고 : 79m 둘레 : 1,750m 면적 : 175,778㎡ 저경 : 655m)

  • /
1 2 3 4 5 > >>
  • 관광지  >  제주도  >  제주시
  • http://api.visitkorea.or.kr 정보제공
  • mailto:master@tourcoup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