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테마별선택
  • Home
  • 관광지
  • 문화시설
  • 행사공연축제
  • 여행코스
  • 레포츠
  • 숙박
  • 쇼핑
  • 음식점
시도선택
  • 서울

  • 인천

  • 대전

  • 대구

  • 광주

  • 부산

  •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도

지역선택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광양시
  • 구례군
  • 나주시
  • 담양군
  • 목포시
  • 무안군
  • 보성군
  • 순천시
  • 신안군
  • 여수시
  • 영광군
  • 영암군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해남군
  • 화순군

    경현서원

  • 1583년(선조 16) 유림이 상소를 올려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인 김굉필(金宏弼 1454~1504)을 모실 서원 창건을 허락받고, 이듬해인 1584년 금양서원(錦陽書院)이라는 이름으로 건립하였다. 당시 서원은 나주 서문 밖 대곡동(현재 나주시 경현동 부근)에 있었는데 강당 회극당(會極堂)·동랑 영인당(永仁堂)·서랑 정의당(精義堂)·서재 시습재(時習齋)·동재 일신재(日新齋)·삼문 지원문(智遠門)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경제기반도 튼튼하였다고 전해진다. 1589년(선조 22) 정여창(鄭汝昌 1450~1504), 조광조(趙光祖 1482~1519), 이언적(李彦迪 1491~1553), 이황(李滉 1501~1570) 등 4위를 추가로 배향하고 명칭을 오현사(五賢祠)로 바꾸었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8년(광해군 원년) 중건하였고, 1609년 사액서원이 되면서 경현(景賢)이라는 액호를 받았다. 1693년(숙종 19) 기대승(奇大升 1527~1572)과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추가로 배향되어 모두 7위를 제향하게 되었다. 1868년(고종 5) 서원 훼철령에 따라 철폐되었다가 1977년 현 위치(나주시 노안면 영평리 영안마을)에 복설 되었다.

  • 금성산(전남)

  • 금성산(전남)
    나주의 진산(鎭山)인 금성산의 높이는 451m이며, 4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 봉우리는 노적봉(露積峰), 서쪽 봉우리는 오도봉(悟道峰), 남쪽은 다복봉(多福峰), 북쪽은 정녕봉(定寧峰)이라 불리운다. 또한 금성산에는 금성산성이 있어 군사요새 기능도 하였던 곳인데, 지금은 공군 방공대가 있어 군사보호구역으로 묶여있다. 매년 1월 1일에는 정상에서 해맞이 행사와 페어데이 행사를 개최하여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기도 하다. 금성산은 고려시대부터 국가에서 산신제를 지냈던 영산(靈山)으로서 매년 봄 가을이면 나주 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어 한해의 풍년과 태평함을 기원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특히 금성산에는 5개의 사당이 있었던 곳으로도유명하다. 비록 현재는 없어졌지만 산 정상에는 상실사(上室祠), 중턱에는 중실사(中室祠), 산 기슭에는 하실사(下室祠)와 국제사(國際祠)가 있었으며 성 안에도 이조당(爾朝堂)이 있어 금성산이 신령스러웠음을 알게 해 준다.그리고 금성산의 산신은 '금성대왕(錦城大王)'이라 불리는데, 현재에도 이 신을 모시는 무당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기도터로도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 나대용생가및묘소

  • 나대용생가및묘소
    문평면 오룡리 오륜마을 깊숙이 나대용장군의 생가가 초가로 복원되어 있다. 그 초가에서 대대로 후손들이 살다가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새로 단장했다. 나대용 장군은 임진왜란때 이 충무공 막하에서 거북선 건조에 전력을 기울인 실질적인 공로자로 평가되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전인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인 이순신 장군을 훈련원주부의 신분으로 찾아가 그 제작을 협의하니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았고 그 후 임난이 일어나자 거북선 3척을 처음으로 진수했다 한다. 나대용장군은 충무공과 함께 사천승첩을 비롯하여 당포전, 당항포전, 견내량전, 안골포전, 노량대첩 등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쾌속정인 해추선을 발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충무전서 난중일기 조선왕조실록>등에서 뒷받침해 주고 있다. 묘소는 생가에서 약 2km 떨어진 마전산에 있으며 장군이 거북선을 만들어 시험했다는 방죽이 마을 앞에 있는데, 지금은 논으로 경작되고 있고 마을 이름도 방죽골이다.

    나대용장군은 조선시대 최고의 조선 기술자였다. 이순신장군과 함께 임진왜란 최고의 걸작인 거북선을 만들었고, 이후에도 임진년과 같은 국난에 대비하기 위해 창선, 해추선 등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였다. 체암 나대용장군 기념사업회가 1975년 건립한 소충사에서는 장군의 과학적인 정신을 기리기 위해 매년 4월 22일 '과학의날'에 제사를 모신다.

    *양식 - 목조초가

  • 나빌레라 문화센터

  • 나를 위한 문화 휴식 공간

    일제 폐산업시설이 나주 나빌레라 문화센터로 재탄생했다. 나빌레라 문화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폐 산업시설 문화재생 공모사업어 선정되어 지역민을 위한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하면서 2017년도 10월에 개관했다. 기존 건물 6동에 전시실 및 소극장 등 문화예술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조성했다. 또한, 목수김씨전, 대한민국 천연염색문화상품대전 수상작 전시 등 다양한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 나주 구도심과 혁신도시를 이어 스마트 생태도시를 구현해줄 나빌레라 문화센터의 변화를 기대해본다.

  • 나주 구진포 장어거리

  • 나주 구진포 장어거리
    영산강 하구가 둑에 막히면서 자연산 장어가 거의 잡히지 않지만, 나주의 구진포는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지역이어서 예로부터 장어가 유명하다. 특히 구진포 장어는 미꾸라지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맛이 뛰어나다. 구진포삼거리를 중심으로 7~8곳의 장어집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 1940년대에 들어선 집들이라 비슷한 수준의 맛을 낸다. 구진포는 영산강 물길이 구부러지는 곳에 있는 나루라 해서 ‘구부나루’라 불렸다. 예전에는 영산강의 물이 앙암바위를 돌아 이곳에서 모여 다시 굽이친다 해서 회진포라고 불렀다.

  • /
1 2 3 4 5 > >>
  • 관광지  >  전라남도  >  나주시
  • http://api.visitkorea.or.kr 정보제공
  • mailto:master@tourcoup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