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테마별선택
  • Home
  • 관광지
  • 문화시설
  • 행사공연축제
  • 여행코스
  • 레포츠
  • 숙박
  • 쇼핑
  • 음식점
시도선택
  • 서울

  • 인천

  • 대전

  • 대구

  • 광주

  • 부산

  •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도

지역선택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광양시
  • 구례군
  • 나주시
  • 담양군
  • 목포시
  • 무안군
  • 보성군
  • 순천시
  • 신안군
  • 여수시
  • 영광군
  • 영암군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해남군
  • 화순군

    갈두마을(땅끝마을)

  • 갈두마을(땅끝마을)
    한반도 땅 끝에 위치한 마을인 갈두마을은 사자봉 위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절경이 일품인데, 맑은 날이면 한라산도 보인다는 전망대 아래 한참 내려간 곳에 기념비가 있다. 갈두라는 지명은 은근산에 칡이 많아 칡머리로 불리던 것이 한자 갈두(葛頭)로 명명된 것이다.

  • 고산 윤선도 유적지

  • 조선조의 문신(文臣)이자, 국문학의 비조로 일컬어지는 고산 윤선도(1587-1671) 선생의 유적지로 사랑채인 녹우당이 있다. 600년 전통을 이어온 해남윤씨 어초은파의 종가 고택인 녹우당은 덕음산을 뒤로 우리나라 최고의 명당자리중의 하나로도 알려진 곳이다. 현재 고산유적지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말해주는 은행나무와 비자림, 사랑채인 녹우당, 안채, 행랑채, 헛간, 안사당, 고산사당, 어초은사당 ,추원당, 고산유물전시관등이 있어 조선시대 양반가중 가장 많은 유물 (5,000여 점)을 보관해온 집안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 고천암 자연생태공원

  • 고천암 자연생태공원
    고천암 자연생태공원은 자연 맞이 광장, 철새 솟대 화랑, 나들이 뜰, 안뜰광장의 바닥분수, 수향 습지원, 새소리 숲, 들꽃 향기원, 새맞이 광장 등의 시설물을 갖춘 곳으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자연을 벗 삼아 걷는 즐거움이 가득한 곳이다. 해남 고천암은 본래 철새 도래지로 유명하여 해남을 찾는 철새들의 조형물과 고천암호에 출현하는 조류를 테마로 한 철새 솟대 화랑 등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관람할 수 있다. 특히 여름에 운영하는 안뜰광장의바닥분수와 놀이터는 어린이들이 뛰어놀기에 안성맞춤이며 가을에 담수호를 배경으로 찍는 사진은 인생 사진으로 남을 것이다. 도심을 떠나 녹지 속에서 산책과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 고천암호(철새도래지)

  • 고천암호(철새도래지)
    해남 고천암호는 철새도래지로 유명한데, 1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 가창오리떼가 몰려들어 장관을 이룬다. 영화 서편제,살인의 추억을 촬영한 곳이 바로 고천암호갈대밭이다. 고천암 갈대밭은 고천암호를 따라 14km 정도의 둘레를 갈대들이 광활하게 서식하고 있고 해남읍 부호리에서 화산면 연곡리까지 3km의 갈대밭은 50만평으로 국내 최대의 갈대군락지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천암 갈대밭에는 먹황새, 독수리 등 희귀조류는 물론 전세계 98%의 가창오리가 겨울을 나면서 환상적인 군무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해마다 고천암호를 찾는 철새들이 줄고 있는 실정이다.

  • 김남주 생가

  • 김남주 생가
    김남주는 한국 민족문학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사회변혁운동의 이념과 정신을 온몸으로 밀고나간 '전사(戰士)시인'이며, 혁명적 목소리로 한국문단을 일깨운 '민족시인'이다. 또한 청춘의 10년을 감옥에서 보내는 등 반독재 투쟁에 앞장선 혁명 시인이었다. 1945년 전남 해남군 봉학리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삼화초등학교, 해남중을 거쳐 광주일고에 입학하였으나 입시 위주의 교육에 반대, 자퇴하였고 이후 검정고시로 전남대 영문과에 입학하였다.대학 재학중 '3선개헌반대투쟁'에 참여하는 등 반독재 학생운동에 투신한 그는 1972년과 이듬해에 전국 최초의 반유신투쟁 지하신문 '함성'과 '고발'을 제작. 배포하여 징역 8개월의 옥고를 치렀고, 이후 대학에서 제적당했다. 1974년'창작과비평'에 '진혼가'등으로 문단에 나온 이후 작가 황석영 등과 함께 '민중문화 연구소' 등을 결성하기도 했다.

    1978년 가장 강력한 반유신투쟁 지하조직 '남민전'의 '전사'로 활동하다가 이듬해 10월 동지들과 함께 체포. 구속되었으며, 징역 15년형이 확정되어 광주교도소 등지에서 복역했다. 그는 두 차례에 걸쳐 도합 10년 세월을 감옥에 갇혀있었으며, 그가 남긴 470여편의 시 가운데 300여 편이 옥중에서 쓴 시이며, 그의 옥중시는 80년대 한국시의 한 절정을 이루었다. 1988년 1월 가석방 되어 출소한 그는 민족문학작가회의 상임이사, 민예총 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단재상. 윤상원문화상을 수상하였으며, 작고 이후에 민족예술상이 수여되었다. 옥중투쟁에서 얻은 지병(췌장암)으로 투병하다가 1994년 2월 13일 불과 마흔 아홉의 나이로 그 생을 마감했다. 시집으로는 '진혼가', '나의 칼 나의 피', '조국은 하나다.', '솔직히 말하자', '사상의 거처', '이 좋은 세상에',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 등이 있다.

  • /
1 2 3 4 5 > >>
  • 관광지  >  전라남도  >  해남군
  • http://api.visitkorea.or.kr 정보제공
  • mailto:master@tourcoup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