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테마별선택
  • Home
  • 관광지
  • 문화시설
  • 행사공연축제
  • 여행코스
  • 레포츠
  • 숙박
  • 쇼핑
  • 음식점
시도선택
  • 서울

  • 인천

  • 대전

  • 대구

  • 광주

  • 부산

  •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도

지역선택
  • 강남구
  • 강동구
  • 강북구
  • 강서구
  • 관악구
  • 광진구
  • 구로구
  • 금천구
  • 노원구
  • 도봉구
  • 동대문구
  • 동작구
  • 마포구
  • 서대문구
  • 서초구
  • 성동구
  • 성북구
  • 송파구
  • 양천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은평구
  • 종로구
  • 중구
  • 중랑구

    답십리 고미술상가

  • 답십리 고미술상가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고서화, 고가구, 도자기 등의 고미술품과 독특하고 다양한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상점이 밀집한 곳이다.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청계천 8가, 이태원, 아현동 등지에 흩어져 있던 고미술상점들이 1980년대 중반부터 답십리 일대에 모여들기 시작하여 형성되었으며 현재 약 140여 개의 점포가 밀집해 있다. 고미술품은 물론 나무촛대, 괘종시계, 오래된 액자 등과 같은 오래되고 독특한 소품들이 많아 볼거리가 풍성하다. 일반 상점에서는 보기 힘든 특이한 물건들이 많아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도 자주 찾는다. 일반적으로 인사동이 질 좋고 값 비싼 고미술품들을 주로 판매한다면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몇 천원부터 시작되는 작은 소품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 배봉산

  • 해발 106m의 배봉산에 조성된 배봉산근린공원은 산지형 공원으로 비탈졌으나 무장애 둘레길이 있어 수월하게 오를 수 있는 공원이다. 배봉산근린공원은 걷기에 최적화된 길이다. 보행로 또한 완만한 오르막과 내리막으로 되어있어 걷기만 해도 운동량이 적당하며 중간에 벤치들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쉬어가기 좋다. 보행 데크가 잘 정비되어 있어 보행 약자에게도 좋은 산책길이자 운동길이다.

  • 서울 영휘원(순헌황귀비)과 숭인원(이진)

  • 서울 영휘원(순헌황귀비)과 숭인원(이진)
    영휘원 안에는 조선왕조 제 26대 고종의 후궁이며 영친왕의 생모인 순헌귀비 엄씨의 원인 영휘원과 영친왕의 첫째 아들의 원인 숭인원이 있다. 엄씨의 위패는 현재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칠궁에 모셔져 있다. 영휘원이 있는 이 지역은 원래 고종 황제의 비인 명성왕후 민씨의 홍릉이었으나, 1919년 고종의 장례 때 함께 묻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소재현 홍유릉에 이장하였다.

  • 서울풍물시장 전통문화체험관

  • 서울풍물시장 전통문화체험관
    ‘전통문화체험관’은 서울풍물시장을 방문한 내∙외국인 관광객이 다양한 한국의 전통문화 소품을 간단하게 만들어 볼 수 있는 공간이다. 외국인에게는 한국만의 특색 있는 전통문화를 경험하며 한국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내국인에게는 우리 전통문화를 쉽게 접하며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관광 여가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 연화사(서울)

  • 연화사(서울)
    연화사(蓮華寺)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천장산(天藏山)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 말사이다.서울 동부의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회기동은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묘소인 회릉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현재 그 터에는 그녀의 원찰로 지어진 조그마한 절이있다.

    이 곳은 일체중생(一切衆生)의 근본자성(根本自性)이 진흙 속에서 피어나는 청정한 연꽃과 같다는 의미에서 연화사라 불려 졌는데, 이후 묘련(妙蓮)이라 불려지기도 하였다. 이는 모두 연꽃의 청정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연산군이생모 윤씨의 명복을 빌고 비명에 간 원혼을 천도하기 위한 도량으로서, 연꽃의 기능 중 화생(化生)의 의미로 붙인 이름인 듯하다.

    현재는 회릉이 서삼릉으로 이전되고, 그 자리에 경희여중ㆍ고등학교가 설립되면서 옛 모습은 찾을 수 없지만, 그 터 아래 조그마한 사찰이 있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은 울창한 수풀에 둘러싸인 전형적인 사찰의 모습이아닌 빌딩숲에 인공적으로 뭍힌 도심속 사찰로 그 모습이 변모했지만, 사찰에는 폐비 윤씨는 물론 선의왕후의 원찰로서 많은 상궁들이 조성한 불화들이 남아 있어 왕실 원찰로서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시냇가를 건너 가파른고개를 지나 당도하는 옛 가람의 모습은 없지만, 도심 속 골목길을 따라 약간의 나무가 있는 곳에서 만날 수 있는 공원같은 곳 - 연화사에서 세속에 찌든 근심을 잠시라도 떨쳐 버릴 수 있으면 좋을 듯하다.

  • /
1
  • 관광지  >  서울  >  동대문구
  • http://api.visitkorea.or.kr 정보제공
  • mailto:master@tourcoupon.co.kr